작품사진 - 꽃과사랑(59)
-
유채꽃밭에서
유채꽃은 봄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꽃으로 종자는 기름으로 많이 쓰이며 잎은 쌈채소(유채 나물, 가랏 나물)로 쓰입니다.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십자화과의 두해살이풀이며 한국에서는 1962년부터 유료작물로서 본격적으로 재배하였답니다. 3~4월에 가지 끝에 여러 송이가 어긋나게 달리고 색깔은 노란색이며 꽃잎은 4장으로 계란을 거꾸로 세운 모양입니다. 열매는 5~6월에 맺는데 열매 꼬투리 하나에 20여 개의 씨가 많이 들어있습니다. 유채꽃 하면 기름, 기름하면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카놀라유입니다. 일상 요리 음식 만들때 사용되는 카놀라유가 바로 유채꽃씨로 짜내 기름으로 만들어집답니다. 유채꽃은 비타민이 풍부해서 피로회복, 피부미용, 면역력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어혈을 풀어주고 항균작용도 있다고 합니다. 유치..
2019.12.26 -
산철쭉
산지의 물가에서 자란다. 높이는 1∼2m이고, 어린 가지와 꽃자루에 점성이 있으며 갈색 털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길이 3∼8cm의 긴 타원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을 거꾸로 세운 모양입이랍니다.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잎 뒷면 맥 위에는 잎자루와 더불어 갈색 털이 빽빽이 있습니다. 꽃은 4∼5월에 붉은빛이 강한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2∼3개씩 달려있습니다. 화관은 지름 5∼6cm의 깔때기 모양이고 5개로 갈라지며 안쪽 윗부분에 짙은 자주색의 반점이 있으며 꽃받침은 갈색 털이 있으며 5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길이 4∼8mm의 좁은 달걀 모양입니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밥은 자줏빛이 돈다. 암술대는 털이 없거나 밑 부분에 누운 털이 있고, 씨방에는 갈색 털이 있답니다. 열매는..
2019.12.23 -
직박구리의 봄
매화꽃 향기에 취한 직박구리 직박구리 마음에 봄이 오려나 봄 설레이나 봄.. - 설레이는 계절 - 이름 : 직박구리 학명 : Hypsipetes amaurotis 계 : 동물 문 : 척삭동물 강 : 조류 목 : 참새목 과 : 직박구리과 멸종위기등급 : 미평가 크기 : 약 27.5cm 몸의 빛깔 : 잿빛을 띤 어두운 갈색 생식 : 1회에 4~5개의 알을 낳음 생활양식 : 암수 함께 생활(여름철), 무리 생활(이동할 때) 서식장소 : 잡목림, 낙엽활, 엽수림, 관목림 분포지역 : 구북구(동부), 한국, 일본, 타이완, 루손섬 직박구리는 몸길이 약 27.5cm이며 몸 전체가 잿빛을 띤 어두운 갈색이며 머리는 파란빛이 도는 회색이고 귀 근처의 밤색 얼룩무늬가 두드러진답니다. 무리를 지어 시끄럽게 지저귀는데, 울..
2019.12.22 -
매화(홍매화)
홍매화는 식물. 장미과 벚나무속 낙엽활엽수입니다. 높이는 5m 정도.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경상남도, 전라남도 등 남부지방에서 재배하는데 특히 경상남도 양산시, 하동군전라남도 광양시가 매화나무로 유명합니다. 매화나무 열매가 매실이다. 꽃을 매화라고 부르는데 난초(蘭), 국화(菊), 대나무(竹)와 함께 사군자라고 하여 선비의 절개를 상징합니다. 이른 봄의 추위를 무릅쓰고 제일 먼저 꽃을 피우는 점 때문이며 특히 한겨울에 피는 매화는 설중매라고 따로 부르기도 한답니다. 개화시기는 남부지방은 1~3월, 중부지방은 3~4월이에요. 붉은 매화를 홍매(紅梅), 흰 매화를 백매(白梅)라고 하는데, 백매는 종종 벚꽃과 혼동되는데 실제로는 꽃을 보기만 해도 알 정도로 차이가 상당하지만, 바람 불면 흰 꽃잎이 우수수 날리며..
2019.12.14